반응형
경제 신문 스크랩 양식
헤드라인(요약과 압축) 종이컵 커피 한잔…미세플라스틱도 20개씩 마셨다
기사링크 전형민, 종이컵 커피 한잔…미세플라스틱도 20개씩 마셨다, 2022,04,20
본문(요약) 대표적인 커피점 A사의 테이크아웃용 종이컵에서 평균 20.3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19일 환경재단·매일경제 의뢰로 한국분석과학연구소가 시중에서 많이 소비되는 종이컵 7가지 제품을 대상으로 진행한 미세플라스틱 검출 실험에 따르면 A사의 400㎖ 종이컵에서 평균 20.3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나왔다.

미세플라스틱 크기는 5㎛에서 9.9㎛ 사이가 12.7개로 가장 많았고, 10~19㎛가 6.6개, 20~50㎛도 1개가 검출됐다.
기사 내용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인사이트
미세플라스틱은 잔류기간이 길어 체내에 축적돼 세포를 죽이는 신경독성 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
유럽을 중심으로 미세플라스틱 기준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이 구체화되고 있다. 정재학 한국분석과학연구소장은 "내년 유럽 기준이 마련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국내 기업도 이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환경연 보고서도 "미세플라스틱 검출을 위한 표준절차 마련, 표준화된 독성 시험 방법 마련, 현실을 반영한 조건에서의 실험 연구, 위해성 평가를 위한 방법론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수치화
실험에 사용된 모든 종이컵에서 추출된 미세플라스틱 중 약 78%가 20㎛ 미만이었고 인체 조직 내 흡수가 가능하다고 알려진 10㎛ 이하도 34%에 달했다.
추가 조사할 내용  
적용할 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화장품에 대해서는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 '화학제품안전법'등이 마련되어있다. 인체에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계속해서 발표되고있는데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작업이나 계획이 마련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
-코로나로 인해 일회용품 사용 빈도가 늘어나고 1인 가구 및 배달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일회용품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단순히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자라는 문구보다는 현실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데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하다.
연관 기사 링크  
반응형
반응형
게임 신문 스크랩 양식
헤드라인(요약과 압축) 메타버스 꿈꾸는 플레이위드, "신작 씰 유니버스, 스팀 통해 연내 출시"
기사링크 박광석, 메타버스 꿈꾸는 플레이위드, "신작 씰 유니버스, 스팀 통해 연내 출시", 2022,04,19
본문(요약)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 진행된 이날 행사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미래 사업 방향 소개, 블록체인 사업 전개를 위한 파트너사인 'BPMG'의 소개, 그리고 이를 활용한 미래전략 소개에 이어 끝으로 질의응답이 진행됐다.

행사와 질의응답에는 플레이위드 박정현 상무, 이재용 본부장, 김정주 개발이사, 블록체인 파트너사인 BPMG의 차지훈 대표가 참여했다.

플레이위드 박정현 상무는 다가오는 5월에 대만에서 먼저 출시하는 신작 모바일 게임 '씰M'에 NFT를 접목해 계획 중인 블록체인 기술을 가장 먼저 선보일 것이며, 선출시를 통해 충분한 콘텐츠와 재미를 확보한 뒤,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국가에 정식 출시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용어정리 다오(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DAO) : 탈중앙화 자율조직을 의미.
즉, 특정한 중앙집권 주체의 개입 없이 개인들이 모여 자율적으로 제안과 투표 등의 의사표시를 통해 다수결로 의결을 하고 이를 통해 운용되는 조직

기사 내용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인사이트
이어 '블록체인'의 등장과 함께 업계 전체에 커다란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으며, 현재 시장 상황에서는 'P2E'가 지배적인 구조라고 말했다.
게임이 가지는 즐거움을 게이머가 느끼고 또 생태계 안에서 모두가 새롭고 즐거운 시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더 집중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플레이위드가 전개해나갈 메타버스는 참여형 생태계라고 할 수 있는 DAO 기반의 커뮤니티가 될 예정이다.
이재용 본부장은 플레이위드가 게임 IP를 활용한 다양한 사업을 진행해나갈 계획이며, 무한한 확장 가능성을 품고 있는 IP 기반의 종합 콘텐츠 비즈니스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수치화
추가 조사할 내용  
적용할 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연관 기사 링크  
반응형
반응형
게임 신문 스크랩 양식
헤드라인(요약과 압축) [기자수첩] NFT와 블록체인, 게임사와 유저의 온도 차이
기사링크 윤서호,[기자수첩] NFT와 블록체인, 게임사와 유저의 온도 차이,인벤, 2022,04,19
본문(요약) 블록체인, NFT가 2018년부터 각계를 강타하기 시작했고, 게임업계에도 이는 예외가 아니었다.

이미 NFT와 블록체인 관련 게임에 대한 소식은 아직 봄이 채 지나지도 않은 시점에서도 다양하게 쏟아지고 있다.

일부 업계인들은 궁극적으로 NFT와 블록체인을 도입한 게임이, 게임이 즐기는 것을 넘어서 즐기면서 돈을 버는 또다른 차원의 엔터테인먼트가 되리라는 비전을 공유하고자 하고 있다.
용어정리 GDC : 세계 최대 규모의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Game Developers Conference, GDC)
MMO
RPG : Role-Playing Game의 약어로 '역할 수행 게임'을 뜻함.
즉, 게임 상에서 각자 맡은 종족 및 직업 그리고 캐릭터에 따라 주어진 능력을 사용하며, 역할을 수행하는 게임

MMORPG : RPG에 'Massively Multi-player Online'이 붙어서 사용되는 단어로,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역할 수행 게임'을 뜻함.
즉, 혼자 게임을 하는 것이 아닌, 수많은 사람들과 실시간으로 플레이하는 RPG라고 할 수 있음

대표적인 게임으로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World Of Warcraft), 파이널 판타지14(Final Fantasy 14)가 있다.

MORPG : MMORPG에서 대규모를 뜻하는 Massively가 빠진 것으로, '다중 사용자 온라인 역할 수행 게임'을 의미
즉, 대규모가 아닌 정해진 수의 사람들과 함께 역할 수행 게임(RPG)을 플레이 하는 것

대표적인 게임으로는 던전 앤 파이터(Dungeon and Fighter), 디아블로2 레저렉션(Diablo2 Resurrencted)가 있다.
*일반적으로 ‘방’을 만들어 그 방에 접속한 사람들끼리만 전투 및 사냥을 한다면 MORPG, 모든 사용자들의 왕래가 가능한 공개 지역에서 전투 및 사냥을 한다면 MMORPG로 구분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6020202012031671001
https://m.blog.naver.com/dlxlwlsl/221738882292
기사 내용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인사이트
리처드 개리엇은 NFT 게임을 만들게 된 계기가 NFT와 블록체인이 자신이 개발한 게임 내 아이템의 가치를 보존하고, 유저와 유저 그리고 유저-개발자 사이에 투명한 거래가 일어날 수 있는 수단으로 보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일부 업계인들은 궁극적으로 NFT와 블록체인을 도입한 게임이, 게임이 즐기는 것을 넘어서 즐기면서 돈을 버는 또다른 차원의 엔터테인먼트가 되리라는 비전을 공유하고자 하고 있다.

또한 암호화폐 등과 연계해 현실의 경제와 연결되면서, 진정한 메타버스를 이룩할 수 있다는 비전도 제시되고 있다.

수치화


추가 조사할 내용 블록체인, nft를 적용하면서 생길 수 있는 문제점
적용할 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대부분의 기사들에서 수익성을 목표로 블록체인과 nft를 도입하는 것으로 보인다. 게임의 본질적인 목표는 "재미"라고 생각하는데 이점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지?
블록체인은 이미 다양한 산업과 접목이 되고있다. 유독 게임에서만 규제를 심하게 하는 상황처럼 보이는데 왜 이렇게 규제를 심하게 하는지, 규제를 어떻게 할 것인지 생각이 궁금하다.
연관 기사 링크 메타버스, NFT 이어 게임사가 주목하는 이것 [황순민 기자의 더테크웨이브]
https://www.mk.co.kr/premium/special-report/view/2022/03/31687/
“승자는 누구” 게임사들이 제시한 P2E 승리전략은?
https://byline.network/2022/04/19-200/
블록체인도 안전하지 못하다?…인기 블록체인 게임서 7500억원 상당 해킹
https://www.mk.co.kr/economy/view/2022/288142

 

반응형
반응형
경제 신문 스크랩 양식
헤드라인(요약과 압축) [단독] 곡물자급률 20% 첫 붕괴…식량안보 '위기'
기사링크 김정환, 송광섭, [단독] 곡물자급률 20% 첫 붕괴…식량안보 '위기', 매일경제, 2022,04.07
본문(요약) 전 세계 공급망 대란과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국제 곡물가격이 치솟는 가운데 한국의 곡물자급률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

곡물과 식재료 수급 경로가 속속 차단되고 전 세계적으로 곡물 파동 위기감이 커지자 한국 경제에 비상등이 켜졌다.

7일 매일경제가 유엔식량농업기구 곡물자급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자급률은 2020년 기준 19.3%에 불과했다.
기사 내용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인사이트
한국의 곡물자급률(국내 소비량 대비 생산 비중)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국내 곡물업체에 대한 세제·금융지원을 강화해 민간 비축 여력을 높여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기후변화 등 수급 문제에 대응해 곡물 생산 저변을 넓히며 자급률을 끌어올려야 한다"

수치화
한국의 자급률은 2020년 기준 19.3%에 불과했다. 사상 처음으로 20% 선이 붕괴된 것이다.

용어정리 곡물자급률 : 한 나라의 전체 식량소비량에서 자국산 식량이 차지하는 비율
추가 조사할 내용 1) 자급률이 빠르게 무너지게 된 이유
이전부터 정부 스스로 식량자급률의 목표치를 낮추는 일을 반복하고 있는 상황,
정부에서 자급률을 높이려는 의지가 있는지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가 나올 수 있는 행동들.
자급률 목표치의 후퇴는 농업희생포기, 식량주권 포기, 통일농업 포기 등 3포를 선언하는것과 같음.
https://www.nongmin.com/news/NEWS/POL/GOV/314313/view

농경지면적의 절대적인 부족과 농산물 시장 개방 등 구조적인 문제와 국민식생활 패턴의 변화 등의 이유로 자급률이 하락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 좁은 국토에서 많은 국민을 부양하기 때문에 잡극률이 낮을 수 밖에 없음
- 국제경쟁력이 취약한 국내곡물 생산량의 감소에 대응하여 곡물수입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기 때문
- 소득증가에 따른 국민식생활 패턴의 변화로 인해 자급률이 감소하고 있다.

글로벌 식량위기와 한국의 식량자급률 향상을 위한 현실적 전략, 성진근((사)한국농업경영포럼 이사장, 충북대 명예교수)

적용할 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연관 기사 링크 전쟁·기후변화발 곡물대란 오는데…비축대책 손놓은 한국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2/04/314978/
반응형
반응형
경제 신문 스크랩 양식
헤드라인(요약과 압축) "출근 싫다" 재택근무 중독된 직장인들…기업들은 초비상
기사링크 임영신, 우수민, "출근 싫다" 재택근무 중독된 직장인들…기업들은 초비상, 매일경제, 2022, 04. 06
본문(요약) 코로나19 사태로 재택근무에 돌입했던 기업들이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기조에 맞춰 일상 회복을 준비하고 있지만 정작 직원들은 출근보다는 재택근무를 강하게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원들이 지난 2년간 재택근무에 '완벽 적응'하면서 사무실 출근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한 셈이다.

네이버가 최근 본사 직원 47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대부분의 직원은 '주 5일 재택근무'를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용어정리 -기조 : 사상, 작품, 학설 따위에 일관해서 흐르는 기본적인 경향이나 방향
-메타버스 :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 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를 합성한 신조어 / 가상 공간에서 모든 활동을 할 수 있게 만드는 시스템
-워크 프롬 애니웨어(Work From Anywhere) : 전 직원이 근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일하는 것
본문 수치화, 인사이트 나누기 인사이트
하이브리드(혼합식) 근무
로봇 친화형 오피스
워크 프롬 애니웨어(Work From Anywhere)
협업툴과 메타버스 오피스 등 원격 근무 솔루션

수치화 
참여율이 76.1%에 달한 이번 조사에서 최적의 근무 방식으로 사무실 출근과 재택근무를 오가는 하이브리드(혼합식) 근무를 선택한 직원이 52.2%로 가장 많았고, 이어 주 5일 재택근무(41.7%)가 뒤를 이었다.
추가 조사할 내용 1. 하이브리드(혼합식) 근무
a. 하이브리드(혼합식) 근무를 적용하고 있는 회사
b. 하이브리드(혼합식) 근무를 시행함으로서 나타나는 회사입장에서의 장단점
c. 하이브리드(혼합식) 근무 외에 다른 근무 방향에 대한 기사

2. 워크 프롬 애니 웨어
a. 위와 같은 거점 오피스 환경이 생기게 된 이유
b. 워크 프롬 애니 웨어의 장단점
적용할 점(현직자에게 할 질문) Q. 재택 근무, 사무실 근무, 하이브리드 근무 등 회사의 입장에서 볼 때 각 근무의 장단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Q. 점차 하이브리드 근무 정책이 더욱 강화되는 방침인데 이에 대한 대첵이나 계획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연관 기사 링크 재택근무를 선호하는 통계와 반대되는 내용의 기사
https://www.mk.co.kr/economy/view/2022/263373
하이브리드 근무와 관련된 기사
https://www.mbn.co.kr/news/economy/4702992
워크프롬애니웨어 관련 기사
https://www.mk.co.kr/news/it/view/2021/05/450406/
반응형
반응형

경제신문스크랩 다시 시작

목표 : 일주일에 3편 이상 꾸준히 업로드 하기


경제신문스크랩 양식 다운

https://alivecommunity.co.kr/life

 

얼라이브커뮤니티

얼라이브 커뮤니티는 개인의 강점이 기업에서 발현되도록 연결하는 커리어 네트워크입니다.

alivecommunity.co.kr

 

ALIVE COMMUNITY에 접속해서 4/경제 신문 스크랩 양식 다운받기 클릭!

 


경제신문스크랩 방법

스크랩 목적 : 신문스크랩을 통해 직무를 이해하고, 산업의 동향을 파악하며, 기업의 인재상까지 얻을 수 있기 때문

 

 

Step 1. 경제신문기사 선택

1) 한국/매일경제 전체 지면 읽기

2) 스크랩 하고자하는 신문 선정 후, 읽기(5분 내)

* 지원하는 산업/직무 관련 기사 or 주요 이슈 기사 스크랩
* 주요 이슈와 지원 직무가 연관되지 않은 경우, 인터넷 검색을 통해 추가로 조사

e.g., 교육 영역 지원 시 코로나 기사와의 연관점 : '교육 코로나 타격', '교육 코로나 수익'등으로 검색
기사의 강조점을 트렌드(파란색) / 수치적 근거(빨간색)로 표시

 

 

Step 2. 경제신문스크랩 작성 순서

1) 헤드라인에 기사의 '제목과 요약'작성

2) 복사한 신문 링크 붙여넣기 : 다시 확인 차원

3) 신문기사의 본문 붙여 넣기

4) 기사 내용 수치화/인사이트 나누기 :

*수치화, 수치적 근거(빨간색) / 인사이트, 적용점, 트렌드, 기사의 강조점(파란색)

*희망 직무와 관련된 사업의 방향성/전략을 어떻게 세워야 할지 생각하며 읽기

*기사의 키워드를 뽑아 정리하기

5) 4)를 작성하면서 추가 조사할 내용들에 대해 요약 후 조사 진행

* 4)에서 잡은 키워드를 기반으로 추가 조사 하기

*경쟁사는 어떤 전략/사업을 취하고 있는지 함께 조사하기

6) 5)까지 작성된 내용을 토대로 현직자에게 인터뷰를 할 때 대비하여 궁금한 점들을 리스트로 뽑기

* 기사 내에서는 알 수 없는 궁금점 질문 뽑아내기

7) 기사 스크랩의 요약 및 자신의 의견 작성

8) 연관 기사들 링크 추가

 


신문 게재 기사 링크

* 가장 팩트 기반의 경제 신문으로,

만약 직무와 산업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신문사가 있다면 그 신문사를 통해 스크랩 진행해도 됨


주의사항

-일간지 혹은 단편적 기사만 읽는 것은 피하기

-원하는 기사만 읽는 것은 피하기 : 원하는 정보만 읽게 되면 정보와 생각이 한쪽으로 치우치기 쉽고,

최근 이슈들을 파악하기 어렵기때문

-사설도 함께 읽기 : 좋은 자소서 작성 예시가 될 수 있음.

또한. 사설가들의 기사 중 가장 뛰어난 원고가 등록되기 때문에

글의 구조와 내용의 논리를 어떻게 주장하는지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한국경제/매일경제 번갈아가면서 작성하기 : 경제신문이 비교적 편향된 정치 성향이 적기 때문

반응형
반응형

맥스로 포즈 작업을 할 때, 참고자료를 보고 작업을 하기에 듀얼모니터가 아닌 이상

MAX창을 줄이고 참고자료를 옆에 띄운체 작업을 하는 일이 종종 있습니다.

 

이럴 경우, 맥스를 전체화면으로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당히 불편한 점들이 많습니다.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사진을 최상단에 고정하는 방법도 있지만,

MAX기능 자체에서 사진을 최상단에 띄우는 기능이 있습니다.


1) Rendering -> View Image File

 

2) 본인이 불러오고자하는 사진의 경로를 설정한 후 사진 클릭하기

* gif파일도 지원하지만, 움직이진 않음

* 맥스 작업 중에도 창이 꺼지거나 가려지지 않음

* 스크롤로 사진 크기 조정 가능

 

 

3) 사진 여러개 띄우는 것도 가능

반응형
반응형

레퍼런스를 참고하면서 애니 작업을 할 때 마다 max창을 줄여서 레퍼런스 자료를 보곤 했었는데

유용한 프로그램이 있어 추천드립니다.

 

PureRef : 화면에 사진을 최상단에 고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

https://www.pureref.com/

 

PureRef

Optimize your workflow Utilize the myriad of tools available. Write a quick note, toggle desaturation, arrange and align images.

www.pureref.com

 

장점 : 사진을 옆에 띄우고 맥스로 작업해도 사진 창이 내려가지 않아

모니터 하나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작업 영역을 정리하기 좋은 프로그램


  • 설치방법

1. 홈페이지 접속 -> 우측 상단 "DOWNLOAD"클릭

 

2. 사용하는 PC의 운영체제 선택하기

 

3. Custom Amount 클릭 후 0원 입력

 


  • 사용방법

- 사용하고자 하는 사진을 Pureref 화면으로 끌어당겨 사진 업로드

 

- 마우스 휠로 사진 확대/축소 가능

- 가장자리에 마우스 커서를 올리면 사진 크기 조절 가능

 

- 사용하고자 하는 사진을 Pureref 화면으로 끌어당겨 사진 업로드

- 우클릭 드래그로 창 위치를 이동 가능

 

- 우클릭 -> MODE -> Always on Top : 모드에서 최상단에 항상 유지하도록 선택 가능

 

 

 

반응형

+ Recent posts